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2025년 자격조건부터 수령액까지 총정리

by YJ1117 2025. 5. 10.
반응형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한눈에 보는 자격조건과 수령액 비교 썸네일

정부의 청년 자산형성 지원 제도인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를 가장 자세하게 비교 분석한 글입니다.
신청 자격, 금액, 조건, 후기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 목차 열기

 

청년 자산형성 지원사업이란?

 

청년이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매칭해주는 제도로, 대표 상품이 청년도약계좌청년내일저축계좌입니다.
각 상품은 대상과 혜택이 달라, 본인 상황에 맞게 선택이 필요합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월 소득 기준)

 

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50% 중위소득 180%
1인 2,270,000원 1,135,000원 4,086,000원
2인 3,770,000원 1,885,000원 6,786,000원
3인 4,847,000원 2,423,500원 8,724,600원
4인 5,903,000원 2,951,500원 10,625,400원
5인 6,830,000원 3,415,000원 12,294,000원
6인 7,714,000원 3,857,000원 13,885,200원

※ 출처: 보건복지부 고시 / 기준: 월 소득

 

📌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내일저축계좌 비교표

 

항목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중산층 이하 청년 저소득 근로 청년
연령 만 19~34세 50% 이하
만15~39세
50% 초과 ~ 100%
만19~34세
소득 요건 개인 연 7,500만 원 이하 월 10~250만 원
저축 기간 5년 3년
정부지원금 월 최대 4만 원 50% 이하 월 30만 원
50~100% 이하 월 10만 원
만기 수령액 약 5,000만 원 약 720~1,440만 원
세금 혜택 이자소득세 면제 과세

 

📌 요약

 

  • 청년도약계좌
    월 최대 70만 원 납입 가능, 소득 구간에 따라 월 최대 4만 원의 정부기여금 지원,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 제공
  • 청년내일저축계좌
    소득 및 연령 기준에 따라 정부지원금 차등 지원, 3년간 근로활동 지속 및 교육 이수 등 조건 충족 시 만기 수령 가능

 

📊 계좌별 수령금액 시뮬레이션 (예상치 기준)

 

구분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소득 50% 이하)
청년내일저축계좌
(소득 50~100% 이하)
저축 기간 5년 3년 3년
월 본인 저축액 50만 원 10만 원 10만 원
정부지원금 월 최대 4만 원 월 30만 원 월 10만 원
정부지원 총액 약 200만 원 약 1,080만 원 약 360만 원
이자 수령 예상 약 300만 원 약 60만 원 약 60만 원
총 수령액 약 5,000만 원 약 1,440만 원 약 720만 원
세금 혜택 이자소득세 면제 과세 과세

※ 수치는 정부 발표 기준 및 연 2% 이자 추정 기준 예시입니다. 실제 수령액은 금융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이드

  • 신청 기간: 2025년 5월 2일(금) ~ 5월 16일(금)
  • 계좌 개설: 대상자에 한해 5월 22일 ~ 6월 13일(1인 가구), 6월 2일 ~ 6월 13일(2인 이상 가구)
  • 신청 방법: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등 11개 은행의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뱅킹을 통해 비대면 신청
💡 월 50만 원씩 5년간 납입 시
총 저축액 3,000만 원 + 정부기여금 약 200만 원 + 이자 = 최대 약 5,000만 원 수령 가능
변경 사항: 소득 구간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수령액은 개인의 소득 수준에 따라 다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가이드

  • 신청 기간: 2025년 5월 2일(금) ~ 5월 21일(수)
  1. 신청: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2. 심사: 소득·재산 조사(2~3개월 소요)
  3. 선정: 대상자 안내 후 하나은행 전용 통장 개설
  4. 저축: 월 10만 원 이상 정액 저축 시작

 

📌 준비 서류

  • 주민등록등본
  • 소득 증빙서류(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급여명세서 등)
  • 재산 관련 증빙서류 (필요 시 제출)

 

📱 복지로 신청 팁

  • 공동인증서(PKI) 또는 PASS 인증 필요
  • 모바일 복지로 앱에서도 신청 가능

 

😊마무리 요약

  • 장기 저축 + 이자 비과세 + 신용점수 개선 → 청년도약계좌
  • 단기 목돈 + 월 최대 30만 원 지원 → 청년내일저축계좌
✅ 두 계좌 모두 가입 가능한 경우
청년내일저축계좌 → 청년도약계좌 순으로 활용하는 것이 전략적입니다.

 

📎 참고 사이트

반응형